조향 입문: 🌿 천연 향료 추출법 완전 정리 – 압착법, 증류법, 추출법의 모든 것
자연의 향기를 담아내는 첫 단계, 천연 향료의 추출법은 향수의 품질과 향기의 지속력을 좌우합니다. 조향을 배우는 입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세 가지 주요 방식: 압착법, 증류법, 추출법의 정의와 특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1. 압착법 (Expression Method)
압착법은 과일, 주로 감귤류의 껍질에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고전적 방식입니다.
열을 가하지 않고 압력으로 추출하는 방식으로, 추출 방식에 따라 크게 해면법, 에큐엘법, 기계적 착유법으로 나뉩니다.
📌 주요 방식
해면법 (Sponge Method)
손으로 껍질을 눌러 스펀지에 흡수된 오일을 모으는 수작업 방식입니다.
수동식 추출법으로, 조각낸 과일에서 과육을 제거한 뒤 껍질을 물에 넣어 과피의 조직 간의 벽을 느슨하게 합니다.
이때, 과피의 겉면이 스펀지에 의해 뒤집혀 압착되고 이 과정을 통해 오일 세포가 파열되면서 스펀지에 스며듭니다.
주기적으로 스펀지를 짜서 떠오르는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을 얻습니다.
에큐엘법 (Écuelle à piquer)
날카로운 돌기로 껍질을 긁어내 오일을 수집합니다.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수동식 추출법으로 오일세포를 파열 시키기 위해 추출 장치 내부 테두리에 장치된 스파이크에 과일을 통째로 눌러서 짜낸다.
기계적 착유법 (Machine Abrasion)
현대에는 회전식 드럼과 압착기를 사용해 대량 생산합니다.
과일을 통째로 스파이크가 있는 호퍼에 넣고 과일이 스파이크 사이로 굴러 떨어지면 과피의 겉 부분이 갈리고 으깨지는데,
이때 형성된 세포찌꺼기, 수분, 에센셜 오일 등이 원심분리기 속으로 들어가 에센셜 오일과 다른 성분들로 분리됩니다.
✅ 특징
- 열을 사용하지 않아 천연 향이 잘 보존됨
- 감귤 계열 향료에 가장 적합
- 산화에 약해 보존성이 낮을 수 있음
🔥 2. 증류법 (Distillation)
식물 조직에 열을 가해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열에 의해 성분이 변화하지 않는 원료에 한해서 대부분의 에센셜 오일은 증류법에 의해 추출됩니다!
📌 대표 방식: 수증기 증류법
식물에 증기를 통과시켜 휘발성 오일을 기화시키고, 이를 냉각하여 다시 액화시킵니다. 참고사항으로 이때 향료 가격은 얻어지는 수율에 따라 차이가 발생됩니다.
✅ 특징
- 허브, 꽃, 뿌리 등 다양한 식물에 적용 가능
- 비교적 저렴하고 대중적인 추출법
- 열에 민감한 성분은 손상 가능성 있음
🌸 3. 추출법 (Extraction)
향료를 지방, 알코올, 용매 등과 접촉시켜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다양한 하위 방식이 존재하며, 향의 품질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주로 채유 원료가 열에 의해 변질되거나 수용성 성분이 많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자스민, 튜버로즈와 같이 수용성 성분이 많고 가격이 비싼 꽃에서 높은 수율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 주요 하위 추출법
① 휘발성 용매 추출법 (Solvent Extraction)
헥산, 에탄올 등 휘발성 용매를 사용해 향료 성분을 추출한 뒤 잔여 용매를 증발시킵니다. 여기서 얻어지는 향료는 앱솔루트(Absolute)라 부릅니다. 용매 추출법은 천영 향료를 대량 처리하는데 적당합니다. 추출은 실온에서 하고 추출액을 증발장치로 보내 저온에서 농축한다. 이때 용제가 제거되면 고형물질인 콘크리트가 남고, 이것을 다시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면 앱솔루트가 얻어진다.
정리하면 실온 추출 > 저온 농축 > 콘크리트 > 앱솔루트 가 얻어지는 방식이다.
② 비휘발성 용매 추출법
냉침법 (Enfleurage)
꽃이나 식물의 향을 흡수한 기름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샤시라고 불리는 나무틀에 흰천이나 유리판을 덮고 정제된 기름(올리브 오일, 돈지, 우지 등)을 위해 얇게 바른 후 수확한지 얼마되지 않은 신선한 꽃을 그 위에 올려둡니다. 꽃에 따라 상이하지만 24~48시간 정도 지나면 에센셜 오일이 꽃에서 오일로 옮겨져 흡수됩니다.
온침법 (Marceration)
냉침법에 사용되는 원료와는 달리 꽃을 딴 후 곧 생리 작용이 멈추는 장미, 오렌지꽃, 히얀신스 등의 꽃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60~70도 사이의 따뜻한 동물유나 식물유에 꽃을 넣어 향 성분을 추출한다.
냉침법 보다 과정이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향에 이취가 있는 것이 단점이라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팅크처 (Tincture)
향료를 에탄올에 일정 시간 담가 향을 우려내는 방식입니다.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열을 가하지 않고 추출하는 방식으로, 주로 동물성 원료나 수지와 같은 건조한 원료의 추출에 사용됩니다. 침지 또는 침출법이라고도 부르는데, 추출하는데는 수일에서 2주정도 소요됩니다. 천연 향수 제작에 종종 사용됩니다.
인퓨전 (Infusion)
건조한 식물 재료를 뜨거운 용매에 담가 향료 성분을 추출합니다. 팅크쳐와 같은 방식이나 80도의 열을 가한다는 차이가 있다. 효율은 높으나 향이 섬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팅크처와 인퓨전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레지노이드(RESINOID)라고한다.
초임계 CO₂ 추출법 (Supercritical CO₂ Extraction)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200기압, 33도 고압 저온 상태에 두면 액화상태로 변하여 용매제의 특성을 갖게 된다. 저온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열에의한 손상이 없고 압력을 낮추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매제를 제거할 수 있다. 용매가 잔류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나, 고가의 장비들이 요구되어 비용이 많이 든다.
✅ 특징
- 세밀한 향기 조절 가능 – 고급 향수에 자주 사용
- 소량 생산, 고비용
- 휘발성 용매 추출 시 잔여 용매 문제 주의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마무리하며
향료 추출 방식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향기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내가 사용하는 향료가 어떤 방식으로 추출되었는지 알게 되면, 향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답니다.
'조향 꽁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향 입문 향수 노트별 향료 90개 총정리: 플로럴·프루티·우디·스파이시까지 한눈에 (1) | 2025.04.29 |
---|---|
조향 입문 총정리: 향기를 표현하는 발향단계, 향의 구조적인 이해, 부향률에 대한 정의, 향수분류 타입🌸 (0) | 2025.04.25 |
조향 입문 총정리: 향기를 표현하는 조향 용어, 상대적 표현의 종류, 밸런스와 어코드 (0) | 2025.04.24 |
조향 입문 총정리: 향료 향취 분류, olfaction 표현법 (1) | 2025.04.23 |
댓글